프로젝트의 목표에 부합하는 적절한 마감재를 선정하여 그 물성과 심미적 효과를 고려해 재료 계획을 세우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목재
6)파티클 보드는 파쇄된 목재 조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만든 평판이다.
집성목재는 각재를 같은 나무결 방향으로 접착재로 붙여서 물리, 화학적 성능을 향상 시킨 것이다.
8) 코펜하겐 리브는 강당이나 집회장의 음향조절 및 수장용으로 사용한다.
9) mdf는 톱밥을 압축가공해서 만든 인조 목재판이다. 합판보다 면이 매끈하여 실내공사에 많이 사용되나 습기에 약하다.
2. 석재
1)석재는 내화, 내수, 내구,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연마하면 광택이 나고 아름다운 무늬가 있어서 실내 바닥과 벽의 마감재로 많이 사용된다.
2) 반면에 인장강도가 약하고 가공이 어렵다. 또한 비중이 크고, 큰 부재를 얻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3) 지질학적으로 석재는 화성암(화강암, 안산암, 응회암), 퇴적암(석회암, 사암, 절판암), 변성암(대리석, 사문암, 석면)으로 분류하고 있다.
4)석재를 마감재로 계획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주의해야 한다.
-크기와 운반의 제한이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최대 치수를 정한다.
-휨과 인장강도가 약하므로 시공 전 후 파손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현장 시공은 물론, 시공 전 현장에 쌓아 놓을 떄도 수평을 유지하여서 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열이 많이 발생되는 곳은 내화성이 우수한 석재로 계획한다.
-석재면의 청소는 염산 계통을 사용하지 않는다.
3. 점토소성제품
1)점토 소성제품은 소성온도, 흡수율, 시유 여부 등에 의해서 자기(타일, 위생도기, 그릇), 석기(벽돌, 타일,테라코타), 도기(타일, 테라코타, 위생도기), 토기(벽돌, 기와)로 구분한다.
2) 벽돌은 내화, 내구성이 높고,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외장재는 물론, 내장재로도 많이 사용한다.
3) 벽돌의 표준규격은 190x90x57이며, 일반형을 210x100x60이다.
4)타일은 제품에 따라 흡수율, 강도, 내구, 내후성 등의 차이가 있으므로, 반드시 바닥과 벽, 내장과 내장용을 구분하여 계획하여야 한다.
5)위생도기는 대소변기, 세면기, 욕조, 개수대 등의 총칭이다.
4. 금속재
1)금속은 광석으로부터 필요한 물질을 추출, 정련하여 얻어진 것으로 철금속과 비철금속으로 구분한다.
2)철금속은 철강, 탄소강, 특수강이 있으며, 비철금속은 동과 동합금, 알루미늄과 알루미늄합금, 크롬, 스테인리스강, 은 등이 있다.
3)금속재료는 구조용재, 강관, 경량형강, 강판, 긴결 및 고정철물, 수장용 금속제품, 창호, 창호철물 등의 제품을 만드는데 사용한다.
5. 유리
1)과거에는 채광을 목적으로 하는 창호에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유리를 소재로 하는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어서 실내 마감재로서 그 사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2)유리제품으로는 보통판유리, 무늬유리, 컬러유리, 반사유리, 망입유리, 복층유리, 강화유리, 스테인드글라스, 매직유리, 반사유리, 에칭유리, 베벨드 유리, 젖빛유리, 곡면유리, 내열유리, 유리블록 등이 있다.
6. 도장재
1)도장을 하는 목적은 물체의 내습, 내식, 내약품성 등을 주어서, 그 표면을 보호하고 색채와 광택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7. 합성수지
1) 합성수지는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의 원료를 인공적으로 합성시켜 얻어진 고분자 물질이다.
2) 합성수지는 경량 구조재, 수장재, 타일, 평판 등의 성형품과 접착제, 도료 등 내장재로 많이 쓰인다.
3)합성수지는 강도, 경도, 내식, 내후, 내열성이 있으며, 가공이 용이하여서 현대 실내 공간 마감재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4) 제품으로는 판상제품, 바닥판재, 레쟈 및 필름, 기타 등이 있다.
8. 벽지
1) 벽지의 종류는 실크벽지, 발포벽지, 합지 종이벽지, 직물벽지 등이 있다.
2) 실크 벽지는 pvc 소재로 제조되기 때문에 pvc 벽지라고도 하며, 오염되었을 때 물걸레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3) 발포벽지는 종이에 플라스틱 기포를 뿜어서 만든 것으로 탄력성이 있어 흡음성과 질감이 좋다.
4) 합지 종이벽지는 종이 두장을 포개어 붙여 엠보싱과 프린트 공정을 거친 벽지로, 천연 종이를 사용하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다.
5) 직물벽지는 종이에 직물을 포개어 붙인 벽지로, 보온성, 흡음성, 방음성이 좋으나, 가격이 비싸고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어렵다.
9. 섬유재
1) 섬유재는 부드러운 촉감, 따뜻함, 탄력성, 흡음 성능이 좋다.
2) 대표적인 섬유재는 카펫이다.
3) 카펫 재료로는 천연소재인 모, 면, 견으로 짠 것이 있고, 합성소재인 아크릴, 나일론으로 짠 것이 있다.
4) 천연소재는 촉감이 우수하며, 정전기가 생기지 않지만, 합성소재보다 값이 비싸고 내구성도 떨어진다.
5) 카펫은 바닥 전체를 까는 방법과 부분만 까는 방법이 있다.
6) 전체를 깔면 공간이 넓어 보이는 효과가 있고, 부분적으로 깔면 심리적으로 공간을 구분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
4. 실내건축 재료의 성질
재료는 기성제품 뿐만 아니라 설계자가 상상할 수 있는 세상을 구성하는 모든 물질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재료는 각각의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 특성을 잘 파악하여 적합한 부분에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재료계획이다.
1. 사용목적에 적합한 특성을 지닐 것.
2. 대량생산과 공급이 가능할 것.(재료의 경제성)
3. 사용환경에 적합한 특성을 지닐것.(내구성, 보존성의 적합)
4.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할 것(시공성)
5. 보수가 용이할 것(유지관리의 적절성)
'건축설계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간계획-색채 계획하기 (1) | 2023.04.20 |
---|---|
공간계획-재료계획2 (0) | 2023.04.20 |
공간계획하기-관련 법률 및 용어 (0) | 2023.04.20 |
공간계획하기-배리어프리 (0) | 2023.04.20 |
공간계획하기-공간계획2 (0) | 2023.04.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