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별 디자인 세부사항의 다양한 검토를 통한 아이디어를 적용하여 공간을 계획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3. 동선의 구성요소
1) 길이
동선은 최단거리를 요구하기 떄문에 교통량이 많은 공간을 서로 접근시켜 되도록 짧게 한다. 특히 속도와 화물의 요소를 갖는 동선은 능률성을 고려하여 짧게한다. 만일 동선이 길어지더라도 실을 관통하는 경우는 없도록 하며 되도록 계단을 피하는 것이 좋다.
2) 빈도
화장실, 현관, 계단 등과 같이 사용빈도가 높은 곳은 특히 동선을 짧게 한다.
3) 속도
지하철 환승 통로 등 이동속도가 빠른 동선은 직선적으로 처리하여야 한다.
4) 두께
동선은 공간적으로 두께를 갖고있다. 능률적인 생활에 접근하려면 동선의 역행을 피하고 서로 교차하는 곳은 두께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4. 평면계획의 요소(주택계획의 경우)
1. 주택의 기능 및 요소
1)개인공간: 침실, 욕실 서재
2)가사공간: 부엌, 다용도실, 창고, 가사실
3)공동공간: 거실, 가족실, 응접실, 게스트 룸, 식당, 테라스
2. 기능 및 동선계획
1)비슷한 성격의 실들을 그룹으로 묶어서 계획한다.
2)공간흐름은 공적공간에서 사적공간으로 계획위계를 적용한다.
3. 각실 계획
1) 기본원칙
가)유사기능은 단일한 존으로 배치한다.
나)각실 기능연결은 홀과 복도를 이용한다.
다)통과동선이 발생되지 않게 한다.
라) 높은 빈도의 동선은 짧게 배치한다.
마)동선교차를 최소화한다.
2)실의 연결
가)거실은 주거의 중심에 두고 응접실과 게스트룸은 현관 가까이 둔다.
나)침실과 서재 및 노인실은 조용한 곳에 배치한다.
다)부엌,욕실,화장실,세면실,세탁실은 작업 연계성을 고려하고 급배수 및 전기 등의 설치가 편리하고 경제적인 위치에 배치한다.
3)세부계획
가)거실
1)위치는 현관, 식당, 부엌에 가깝고 남쪽의 테라스와 연결이 잘되고, 햇빛이 잘 들고 전망이 좋은 곳을 선택한다.
2)다른 실로 통과하는 동선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3)면적은 일반적으로 100m2내외의 주택에서는 약 20m2정도, 그 이상의 경우 300m2내외로 계획한다.
나)식당
1)보통 100m2 내외의 소규모 주택에서는 식사 실을 거실의 일부로 설치하는 리빙키친이나 부엌과 함께 사용하는 다이닝키친으로 계획한다.
2)위치는 부엌과 곧바로 연결되는 곳으로 한다.
다)부엌
1)식당과 서비스야드와 연결이 용이하도록 한다.
2)현관으로부터 출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3)주부가 가사일을 하면서도 어린이를 관찰할 수 있는 위치가 되도록 한다.
4)면적은 주택면적의 약 10%내외로 한다.
5)보관, 세척, 조리 부분을 연결하는 길이는 3.6~6.6m이 적당하다.
라)침실
1)부부침실
전용 욕실을 두고 독립성으 ㄹ확보하여 통고 ㅏ통선상에 두지 않는다.
2)자녀침실
가사실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는 위치에 두고, 통풍, 채광이 좋고 수납공간을 충분히 배려한다.
3)노인실
주간활동을 고려하여 남향을 선호한다.
마)욕실
1)덕트설치
P.D와 A.D공간을 확보한다.(깊이 35cm이상)
2)욕실크기
욕조설치시 1.6~1.8m x 2.4~2.7m, 욕조미설치시 0.9~1.8m x 1.8m
3)욕실천장높이
2.1m이상으로 하며, 바닥의 마감은 배수가 가능한 경사를 주어야 한다.
바)현관
1)현관의 위치는 내부 동선을 고려하여 접근과 분리가 용이한 곳에 배치한다.
2)신발, 우산 등을 넣을 수 있는 수납장을 설치한다.
3)최소규격: 0.9x1.2~1.5x1.5m
사)복도
1)복도의 길이 단축을 위하여 복합적으로 실을 연결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2)폭은 최소 90cm, 보통 105~120cm가 적당하다.
아)계단
1)위치는 현관에 가까운 곳에 두어 상하층을 효율적인 동선으로 연결하도록 한다.
2)계단 규격은 폭75~100cm, 높이 18cm내외, 단너비 25cm내외로 한다.
5. 피난계획
최근 건물의 대형화, 고층화 및 복합화로 인해 재난사고에 대한 재실자의 안전을 위한 건출물 피난 계획이 매우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이에 여러가지 재해 현상에서 재실자를 보호하고, 안전한 지역 및 구역까지 동선을 유도하여 재난 시 인명피해 최소화하기 위해 피난계획이 필수적이다.
1. 피난 동선의 기본 개념
피난이란 화재와 같은 비상시 여러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는 행위이다. 피난동선은 피난시설들을 상호 연결하여 구성시킨 동선을 토대로 해서 조립된 것이며, 일상적인 동선을 비상용으로 사용해도 무리없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동선처리는 비상시를 중점적으로 고려하여 계획해야 한다.
-비상시 단시간 내에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부지 및 단지 내 긴급차량 동선을 확보한다.
-모든 피난시설은 대피의 방향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있다.
1)피난계획시 고려사항
가)통로를 불필요하게 굴곡을 줄인다.
나)막다른 통로를 줄여 피난 경로의 가시성을 확보한다.
다)피난 출구의 폭이나 계단의 크기는 피난대상 인원 대비 충분히 설치하고 평면 계획상 균형있게 배치토록 한다.
라)재실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반영한 효율적 피난계획을 수립한다.
마)건축물의 용도, 규모, 구조, 기능 등을 고려한 합리적이고 효율적 피난 설계가 요구된다. 예를들면 업무 공간의 경우 이용자는 직원들로 외부인의 출입은 적으며 주로 주간에 상주한다. 이에 반에 영화관의 경우, 일시에 이용객이 집중하게 된다.
'건축설계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간계획하기-관련 법률 및 용어 (0) | 2023.04.20 |
---|---|
공간계획하기-배리어프리 (0) | 2023.04.20 |
공간계획하기-공간계획 (0) | 2023.04.20 |
공간계획하기-기본설계를 위한 필수자료 및 정보수집 (0) | 2023.04.20 |
공간계획하기-실시설계 (0) | 2023.04.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