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 계획 작성 시 기능적 요소와 경제성을 고려한 재료 계획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2. 재료계획
앞서 설정한 공간별 재료 계획의 대안(방향)가운데, 프로젝트의 디자인 콘셉트, 공간의 기능, 경제성, 시공성능과 시공시간, 내구성, 흡음 및 차음, 법규의 문제 등을 종합하여 재료를 계획하는 단께이다. 아울러 최종 재료 선정 단계에서는 샘플보드를 만들어 면적 비를 고려하는 과정을 추가한다. 재료 계획이 끝나면 공간별로 바닥, 벽, 천장의 마감재명, 제품사진, 생산회사, 제품번호, 구입처 등을 기록한 스펙 북을 작성한다.
1. 실내 공간의 구성요소별 마감 재료
실내건축 재료는 공간 사용자의 활동 특성에 적합해야 하므로, 그 물성을 파악하여 계획해야 한다. 마감 재료는 공간 사용자의 건강에 유해한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
1. 바닥재료
1)바닥은 다양한 물건을 올려놓거나, 사용자가 걸어다니는 등의 활동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2) 따라서 내구성, 내마멸성, 내오염성, 흡음성, 유지관리 등의 물성이 좋아야 한다.
3) 주거공간의 바닥은 신체가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촉감과 보온성도 우수해야 한다.
4) 바닥재는 한 번 시공하면, 5~10년 또는 건축물과 수명을 같이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신중하게 선택하고 시공하며, 그리고 관리해야한다.
5)목재는 대표적인 자연소재 바닥재로서 문양이 친숙한 느낌을 주고, 촉감이 우수하다.
6)합성수지재 바닥재는 염화비닐을 발포하여 스펀지 모양으로 만든 층이 생기기 때문에 탄력이 좋고, 사용할 때 소음도 적게 발생하는 장점이 있다.
7)석재는 대리석과 화강석이 주로 사용되며, 생산지에 따라서 문양과 색채가 다양하다.
8)벽돌은 흡수성이 크고 표면질감이 거칠어 물기가 있으면 미끄러지기 쉬운 현관이나 테라스에 사용한다.
9)타일은 내구성, 내화성, 내오염성 등이 뛰어나며 다양한 색채와 크기로 생산되고 있어서 내장은 물론 외장재로도 널리 사용하고 있다.
2. 벽재료
1) 벽재료는 내구성, 단열성, 차음성, 흡음성, 내화성, 유지관리성 등 벽의 기능에 적합하여야 한다.
2)욕실 벽이라면 내수성이 좋아야 하며, 부엌의 경우는 내수성과 더불어 내화성도 우수해야 한다.
3) 우리나라 주거공간의 벽은 대부분 벽지로 마감한다.
4) 도료는 앞의 '재료의 이해'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벽의 기능과 바탕 면의 재료에 따라 도료를 선정할 수 있다.
5) 노출콘크리트는 콘크리트의 회색과 거푸집의 질감을 그대로 노출하는 것이다.
6) 타일은 물과 불을 사용하는 욕실이나 부엌에 많이 사용한다.
7) 시트지는 뒷면에 접착 성분이 있는 제품으로, 다양한 문양의 제품이 생산되고 있어서 널리 사용하고 있따.
3. 천장 재료
1) 천장은 실내 용도와 규모에 따라 구조를 달리하며, 재료도 구분하여 계획해야 한다.
2) 신체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표면의 내구성이 필요하지는 않으나, 내오성, 흡음성, 단열 성능이 좋아야 한다.
3) 천장의 색채와 질감은 실내조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색채가 밝고 질감이 매끄러울 수록 빛의 반사가 좋아서 조명효율을 높일 수 있다.
4)물을 사용하는 욕실이나 주방은 습기에 강한 재료로 마감한다.
5) 많은 사람이 함께 사용하거나, 방음 환경이 중요한 공간의 천장은 흡음패널로 마감한다.
4. 창호 재료
1) 창호 재료는 창호의 기능과 장식성을 모두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
2) 창호 재료는 내구성, 단열성, 차음성, 내화성능이 좋아야 한다.
3) 창호 마감재로는 목재, 철재, 알루미늄, 플라스틱, 창호지와 유리 등이 쓰인다.
4) 방음이 필요한 문은 내부에 흡음재를 채워서 소리를 흡수하도록 한다.
5) 창호가 외기에 노출되는 부분은 방수성능을 강화한 도료로 칠해야 한다.
6) 철재는 육중하고 무게감이 있어 내부보다는 외부용 대문이나 현관문, 방화문 재료로 많이 쓰인다.
7) 알루미늄은 철의 비중에 3분의 1이어서 가볍고 녹슬지 않기 때문에 대문, 현관문, 난간 등에 흔히 사용된다.
8) 플라스틱 창호는 알루미늄에 비해 비싸지만, 단열효과와 흡읍성이 뛰어나며 창문을 열고 닫을 때 유연성이 좋다.
아울러 무게도 가벼워 이동과 시공이 용이하다.
9) 창호지는 우리 전통주택의 내부용 문과 창에 많이 쓰이는 재료이다. 투시성과 차음성은 없으나 기공이 있어서 창이나 문을 열지 않아도 자연환기 효과가 있다.
10) 유리는 깨지기 쉽고, 단열과 차음효과가 떨어지기는 하지만, 불연 재료로서 빛의 투과율이 좋은 재료이다.
2. 마감재료의 법적 기준
공간별 마감 재료에 대한 법적 기준은 앞서 학습한 '실내건축설계 계획 모듈의 학습내용 1-2공간계획의 3 실내건축 설계 관련법규를 참조한다.
색채 계획하기
3-1 색채의 이해
1. 색채분야의 정의
색채는 사람마다 보고, 느끼는 정도의 차이가 있어서 주관적인 분야이다. 그러나 색채가 실내 공간 계획에 미치는 영향은 공간의 형태나 재료와 마찬가지로 중요한 환경요소로 작용한다. 이에 색채의 지각, 심리적 특성에 관한 이론을 이해하고, 이를 실내 공간 계획에 적용할 수 있는능력을 키우는 단계이다.
2. 색채 계획
1. 디자이너가 선정한 색상을 현장에서 재현하기 위해서는 색채를 정의하여야 한다. 그러나 색상은 형태에 비하여 명확한 값으로 정의하기 어렵다. 인쇄에서는 cmyk값으로 표현하나 이것은 컴퓨터에 의한 재현은 가능하나 실제 색상 표현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때 사용되는 것이 색상칩이다. 색상칩에는 팬톤 매칠 시스템이나 dic 칼라가이드, kbs 색상칩, 페인트 색상가이드 등이 있다.
2. 실내 건축의 색상 계획은 재료의 선택과 연관되어 취급되어야 하는 부분이다.
'건축설계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간계획-색채 계획2 (1) | 2023.04.21 |
---|---|
공간계획-색채 계획하기 (1) | 2023.04.20 |
공간계획-재료계획하기 (0) | 2023.04.20 |
공간계획하기-관련 법률 및 용어 (0) | 2023.04.20 |
공간계획하기-배리어프리 (0) | 2023.04.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