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정된 개념을 구현할 수 있도록 주조색, 강조색, 보조색 등의 색채 계획을 수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3. 주조색, 보조색, 강조색의 구분
1. 주조색
1) 주조색은 채색하고자 하는 대상에서 가장 넓은 면적의 색이다.
2) 일반적으로 대상의 수평투영면적에서 40~60%의 면적 비를 갖는 색으로 보조색보다 넓은 색이다.
3) 그러나 정해진 면적 비에 얽매이지 않아야 한다.
4) 면적이 몇%이니까 어떤색이 주조색이고 보조색인지를 구분하기 보다는 어느정도의 거리에서 볼 때 어떻게 보이는가 가 배색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이다.
2. 보조색
1) 보조색은 일반적으로 대상의 수평투영면적에서 10%이상의 면적비를 갖는 색으로, 주조색보다 좁은 면접의 색이다.
2) 보조색은 주조색과 함께 배색한 다른 색들과 조화를 이끌어 내면서 주조색이 설정하고 있는 배색의도를 살릴 수 있어야 한다.
3. 강조색
1) 강조색은 배색 대상 수평투영면적의 1~10% 미만의 면적비를 갖는 색이다.
2) 주조색 또는 보조색 중의 하나 둘과 명도 차이와 채도 차이를 합하여 4 이상인 색이다.
3) 이때 색상차이는 고려하지 않으므로 같은 색상이라도 명도와 채도 차이만 크면 강조색이 될 수 있다.
4. 실내 건축공간과 색채의 지각
1. 색의 명시성과 유목성
1) 색의 명시성은 그림과 배경의 관계로 두 색이 배색되었을 때, 그림이 구별되어 보이는 정도를 말한다. 명시성은 두색간의 속성 차이가 클수록 높아지는데, 특히 명도 차이에 민감하다.
2) 배경색채의 속성과 관계없이 그림 색채만으로 주목을 받는 색과 그렇지 않은 색이 있다. 이 때 주목을 받는 색을 유목성이 높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명도나 채도가 낮은 것보다는 높은 색이, 한색보다는 난색이, 무채색보다는 유채색의 유목성이 높다.
2. 색의 진출,후퇴성과 팽창, 수축성
같은 거리에 있는 색이지만 속성에 따라서 가깝게 보이는 것과 멀리 보이는 것이 있따. 가까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 색을 진출색, 멀리있는 것처럼 보이는 색을 후툇 이라고 한다. 채도가 높은 난색 계열은 진출(팽창)하고 채도가 낮은 한색 계열은 후퇴(수축)하는 것처럼 지각된다.
3. 색채 대비
1) 인접한 색이나 배경색에 영향을 주고받아서 본래 색과 다르게 지각되는 효과를 색채대비라고 한다. 대비현상은 계속(계시)대비와 동시대비로 구분할 수 있다.
2) 계시대비는 어떤 색을 본 후 다음 색채를 볼 때, 앞에 본 색채가 뒤의 색채에 영향을 주어서 뒤의 색채가 다르게 보이는 현상이다. 반면에 다른 색에 둘러싸여 있거나 인접하고 있는 두색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아서 본래의 색과 다르게 보이는 현상을 동시대비라고 한다.
3) 동시대비는 인접 색과의 속성 차이에 의해서 명도, 색상, 채도, 보색, 면적, 한난, 연변대비로 구분한다.
4. 색채의 동화현상
색채대비는 주변 색의 영향으로 본래 속성과 반대로 지각되는 현상인 반면에, 색채 동화현상은 주변 색과 닮아가는 현상이다. 동화현상은 한 시야에 들어온 채색면이 복잡하고 섬세한 문양이거나, 색채의 속성이 비슷한 경우에 일어난다.
5. 실내건축공간과 색채의 심리
1. 온도감
태양이나 불이 연상되는 빨간색이나 노란색 계열은 '따뜻함'이 느껴지고, 바다나 하늘이 연상되는 파란색이나 남색은 '시원함'이 느껴진다. 한편, 난색이나 한색이 아닌 연두, 초록, 보라, 자주 계열은 중성색이라고 한다.
2. 중량감
색의 중량감은 삼속성 가운데 명도 영향이 가장 크다. 명도가 높을수록 가볍게 느껴지고, 낮을수록 무겁게 느껴진다. 중명도를 기준으로 저명도는 무겁게, 고명도는 가볍게 느껴진다.
3. 강약감
색의 강약감은 채도 영향이 가장 크다. 채도가 높은 색은 자극적이고 강한 느낌을 주고, 채도가 낮은 색은 부드럽고 약한 느낌을 준다.
4. 경연감
색의 경연감은 채도와 명도 영향이 크다. 명도가 높고 채도가 낮은 것은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반면에, 중명도 이하로서 채도가 높은 것은 딱딱한 느낌을 준다.
5. 흥분과 진정
고명도, 고채도의 빨강, 주황과 같은 난색 계열은 흥분시키는 효과가 있고, 고명도, 고채도의 파랑, 청록과 같은 한색 계열은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색채의 흥분과 진정효과는 정신 병원에서 치료를 도모할 수 있다. 우울증 환자는 붉은색 계열 병실에 배정하면 삶의 의욕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조증환자는 푸른색 계열 병실에 배정하여 지나친 흥분을 가라앉힐 수 있다.
6. 시간의 장단
1) 색채는 시간의 흐름에 대한 느낌에도 영향을 미친다. 난색 계열은 시간의 흐름을 길게 느껴지게 하고, 한색 계열은 시간의 흐름을 짧게 느껴지게 한다.
2) 박리다매 형 상업공간이라면, 난색 계열로 배색하여 테이블의 회전율을 높일 수 있다. 반면에 대합실이나 장기입원 병실, 교실과 같은 실내를 한색 계열로 배색하면 시간의 흐름이 짧게 느껴저서 쾌적성과 능률을 높일 수 있다.
7. 화려함과 수수함
1) 색채의 화려함과 수수함은 3속성 모두와 관련이 있으며, 채도의 영향이 가장 크다. 색상이 같다면 명도와 채도가 높을수록 화려하고, 색상과 명도가 같다면 채도가 높을수록 화려하다. 그리고 색상과 채도가 같다면 명도가 높을수록 화려하고 명도와 채도가 같다면 난색 계열이 한색 계열보다 화려하다.
2) 저명도, 저채도의 색은 수수한 느낌을 준다.
3-2. 색채 계획
색채 계획은 프로젝트의 디자인 콘셉트를 구현하는 요소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논리를 확보하여야 한다. 선행 단계에서 학습한 색채의 지각 및 심리적 특성과 더불어, 배색의 원리와 배색기법 등의 이론적 근거에 따라서 실내 건축 공간의 색채 계획의 객관성을 확보하는 단계이다.
'건축설계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설계기획-건축주의 요구사항 (0) | 2023.04.21 |
---|---|
공간계획-색채 계획2 (1) | 2023.04.21 |
공간계획-재료계획2 (0) | 2023.04.20 |
공간계획-재료계획하기 (0) | 2023.04.20 |
공간계획하기-관련 법률 및 용어 (0) | 2023.04.20 |
댓글